사업영역

광학 측정 솔루션

제품개요

Image Photometer 기반 측정 솔루션
Photometric과 Colorimetric 동시에 측정이 가능한 Image Photometer로 CMOS 카메라 기반으로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는 광학 측정 솔루션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LMK6Photometric & Colorimetric 동시 측정 가능한 Image Photometer
  • RIGO801근접(Near-field) 배광 측정 시스템
  • BV-ROOM자동차 헤드램프 및 리어램프 배광 측정 시스템
  • LMK Mobile도로조명, 터널조명, 건축조명, 빛공해 등 실외 조명 측정 시스템
  • L3 StandrdLED 기반의 기준광원 - 휘도, 배광분포, 광속 기준값

제품특징

LMK6
LMK6

LMK(Luminance Measuring Kamera ) 는 CMOS 카메라 방식의 이미지 휘도 측정 시스템으로 Photometric과 Colorimetric 측정이 동시에 가능한 Image Photometer 입니다.

사람의 눈이 느껴지는 빛의 양을 휘도 단위로 정량화되어 있는 장비이며, 해상도, 시야각, 초점, 대상물과의 입체각 등을 고려한 계측기로 사람의 눈과 가장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RIGO801
RIGO801

실제 광원의 표면에서 나오는 빛의 특성을 측정하여 Far-filed 측정데이터(IES)는 물론 광원의 위치, 방향성, 파장, 에너지 등에 대한 종합적인 Ray data 측정이 가능한 근접(Near-field) 배광 측정 시스템 입니다.

BV-ROOM
BV-ROOM

자동차 헤드램프 측정은 자동차 법규에 따른 25m 떨어진 조명을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15분이상의 측정시간이 소요되었으나, 자사 제품인 BVRoom의 경우 10m의 측정 거리에서 ECE/SAE등 법규 규정에 맞추어 합/불 판정으로 측정되며 측정 시간은 약 1분 내로 가능합니다.

BV는 Indirect 방식으로 자동차 헤드램프의 배광분포를 측정하는 시스템으로, 광학적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측정거리(Photometric Distance)를 크게 줄여 광원의 병렬적 광선(Ray) 범위를 하나의 초점면(Focal plane)으로 이미지화 합니다.

KMP
KMP

자동차 헤드램프의 프로젝트 빔 분야에서의 활용이 특화된 시스템으로 간접적 배광분포를 측정 할 수 있으며, 광학적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측정거리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광원의 병렬적 광선 범위를 하나의 초점면으로 이미지 시스템 내의 광원으로부터 출발한 모든 다발의 광선이 아크로뱃 렌즈를 통화하여 측정면에 도달하여 측정이 가능합니다.

적용사례

광원
측정분야
  • 공간 휘도 평가 (Spatial Luminance)
  • 전면 픽셀 균일도 평가 (Unifomity)
  • 블랙 무라 평가 (Black Mura)
  • 시야각 평가 (Viwing angle)
  • 잔상 평가 (Burn in time)
적용사례
  • 곡면 디스플레이 평가 (Curved Display)
  • 외광 영향에 따른 시야각 평가 (Viewing angle with stray light)
  • 투명 디스플레이 평가 (Transparent display)
디스플레이
측정분야
  • 공간 휘도 평가 (Spatial Luminance)
  • 전면 픽셀 균일도 평가 (Unifomity)
  • 블랙 무라 평가 (Black Mura)
  • 시야각 평가 (Viwing angle)
  • 잔상 평가 (Burn in time)
  • 곡면 디스플레이 평가 (Curved Display)
  • 외광 영향에 따른 시야각 평가 (Viewing angle with stray light)
  • 투명 디스플레이 평가 (Transparent display)
적용사례
  • 독일 자동차 OEM그룹이 제안한 DFF측정 기준을 기반으로 한 디스플레이 전 영역에 대한 평가를 진행합니다.
  • 시야각, 컨트라스트, CIE색분포, 휘도, 반사, 응답시간, 그레이 스케일 레벨 등
  • BlackMURA, 3 layer< Sticking image, Conoscopic Contrast Measurement 등의 기존 사용되는 평가 애드온이나 유저에 맞춘 평가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건축/빛공해
적용분야

빛공해는 인공조명의 부적절한 사용으로 인한 과도한 빛 또는 비추고자 하는 조명영역 밖으로 누출되는 빛이 사람의 건강과 쾌적한 생활을 방해하거나 환경에 피해를 주는 상태입니다.

건축 및 도로/터널 조명 분야에서의 활용이 특화된 휘도 카메라 시스템을 광원과 조명 환경에 대한 공간적 분석이 가능한 Portable 타입의 측정 디바이스입니다.

조명 환경에 대한 복합적 평가는 단순 포인트 방식이 휘도 측정 장비로는 분석이 불가능하므로 본 제품과 같은 면 휘도측정시스템을 통하여 각각의 선택적인 휘도 분포를 측정해야만 다양한 환경에 따른 시인성 평가가 가능합니다.

광원 및 조명기기, 조명환경에 대한 광원의 분포를 이미지화하여 복합적인 평가를 할 수 있으며, 측정 이미지 데이터를 시뮬레이션에 직접 적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적용사례

인공조명에 대한 눈부심 평가 UGR Unified Glane Rating

조명환경에 대한 복합적 평가는 단순 포인트 방식의 휘도 측정장비는 불가능하며, 본 장비와 같은 면 휘도 측정 시스템을 통하여 각각의 선택적인 휘도 분포를 측정하여야만 다양한 환경에 따른 시인성 평가가 가능합니다.

카메라 방식이기 때문에 인간의 눈에 가까운 형태에서의 시야각 적용이 가능하다는 강점이 있으며, Labsoft를 함께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결과값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LMK는 환경부 지정의 빛공해 측정 기준장비입니다.

자동차
적용분야

자동차 실내에서 사용되는 HUD, Cluster, Navigation, Button 등과 실외에 사용되는 head lamp, Rear lamp등의 디스플레이 및 lamp의 오브젝트 별 휘도 측정이 가능한 R&D 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제품입니다.

자동차 이외에 디스플레이의 측정 항목들이 컬러, 잔상, BlackMURA, White Uniformity, Black Uniformity 등 디스플레이에서 필요한 대부분 평가 방법에 맞추어져 있으며, 이로한 R&D 용도 이외에 생산라인에서는 디스플레이의 발광 면을 자동으로 추적하여 불량 유/무를 판단하는 전수 검사도 가능합니다.

하이테크 디지털 CCD 카메라 기반의 시스템으로 500만 화소의 픽셀 센서는 공간적 휘도 분석을 위해 높은 수준의 V(λ) 측정 데이터 추출이 가능합니다.
각 위치별 휘도 정보를 정확하게 취득하여, 빛의 위치와 방향성의 정보를 통해 휘도값을 환산합니다.

적용사례

방향등, 주유등, 숫자, 점선 등 클러스터에는 운전자가 확인해야할 요소들이 다량으로 존재합니다.

우리는 이런 모든 요소들을 심볼조명이라 하며, 다량의 심볼조명 요소는 LMK를 통해 단 한번의 측정으로 분석, 평가보고서까지 추출이 가능합니다.

헤드램프(Lightguide, Projection lamp), 클러스터, HUD 등의 휘도, 색도 측정 및 광원 인식기능을 통한 분석이 가능합니다.

균일도나 시인성 평가나 기타 다양한 유저에 맞춘 분석이 가능합니다.

독일 Daimler Benz, BMW, Audi 등은 이러한 분석 기능등을 LMK를 통해 활용하고 있습니다.

도로/터널
적용분야

차세대 디스플레이 HUD는 주변 환경과 대상물의 초점을 통한 가시성, 가독성의 분석이 필요합니다.

LMK 시스템은 운전자의 시야와 시점의 평가를 통해 주변환경의 휘도 분석을 통해 정량적인 가시성 평가를 가능하게 합니다.

적용사례

심볼평가:
자동차 내부의 다양한 광원들의 밝기 및 색도의 분포를 중간값 설정을 통해 Bright 영역과 Dark영역으로 나눠 평가합니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연동:
LMK를 통해 측정된 이미지는 OPTIS 시뮬레이션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측 결과의 연동이 가능합니다.

LMK는 도로조명을 평가하는 데 가장 좋은 솔루션으로, 도로노면의 광학적 특성을 측정하고, 평가하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EN13201 혹은 KS 3701/3703에 평가툴을 제공하여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평균노면휘도(Luminance Average)
  • 전면균제도(Uniformity overall)
  • 차선축균제도(Uniformity lenghwise)
  • 눈부심지수 혹은 임계차증분(Threshold index)

제품영상

BlackMURA Perception of Uniformity

LabSoft Sectional View

Robotic luminance measuring

LMKQuickstart

RIGO801

Roadway Lighting Measurement